1906. 3.19. ~ 1962. 5.31. 나찌 당원, 나찌 무장친위대 중령, 홀로코스트 실행책임자 중 한명. 그의 우수한 조직관리 능력과 나찌 이데올로기에 대한 충성심을 높게 평가한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가 동유럽의 게토 및 절멸캠프에 유대인을 이송하는 책임자로 발탁했다. 전후, 적십자의 난민용 여행허가서(laissez-passer)를 사용해 1 아르헨티나로 도주한 아이히만은 신분을 위장하고 현지의 메르세데즈 벤츠사에서 근무했으나 1960년 모사드에게 체포되었다. 이스라엘로 압송된 아이히만은 인도에 대한 범죄, 전쟁범죄를 포함한 15개 죄목에 대해 유죄를 선고받고 1962년 사형당했다. 2
생애
유년기
아이히만은 독일 서부의 라인란트 솔링겐에서 5남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루터교 신자였던 아버지 아돌프 카를 아이히만은 1차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으로 복무한뒤 장남이 태어났을 때에는 전기회사에서 근무했던 중산층 가장이었다. 1913년 아돌프 카를은 오스트리아의 린츠에 있는 전기회사의 임원이 되어 독일에서 오스트리아로 이주했는데 어머니가 그 이듬해인 1914년 사망했다.
아돌프 오토 아이히만은 1921년 카이저 프란츠 요제프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기계공 전문학교에서 직업훈련을 받았지만 여기서도 중도에 자퇴했다. 1923년 부터는 아버지의 광산회사에서 일하다가 1925년부터 2년간 전자제품 판매회사에서 세일즈맨으로 근무했고 1928년부터는 스탠다드 오일사의 오스트리아 자회사인 베큠 정유회사(Vacuum Oil Company AG)에서 일했지만 1933년에는 그동안 이 정유회사에서 정리해고당했다. 아이히만은 그해 7월에 독일로 돌아갔는데, 나중에 이 시절에 ‘독신자였기 때문에 정리되었다’고 생각했다. 3 4
가족관계
아버지는 아돌프 카를 아이히만 , 어머니는 마리아 아이히만(결혼전 이름은 네 쉐플링)으로 동생으로 차남 에밀, 셋째 헬무트, 장녀 이름가르트, 막내 오토가 있다. (4남 1녀중 셋째인 헬무트는 스탈린그라드에서 전사했다.) 5
아이히만은 1931년 8월 경에 체코 출신의 베로니카 리블(애칭은 베라)과 린츠에서의 연주회에서 만났는데, 베라가 첫눈에 아이히만에게 반했다고 한다. 열성적인 가톨릭 신자였던 베로니카는 신앙이 달랐지만 아이히만과 결혼하기를 바랬고 1933년쯤에는 서로 결혼을 약솟하고 미래를 계획하고 있었다. 이 무렵 오스트리아에서 나찌당 활동이 금지되었으므로, 실직한데다가 독일 시민권을 버리지 않았던 아이히만은 약혼녀 베라와 함께 독일로 이주했다. 1934년 10월 30일에는 친위대 이주 및 인종 본부(RuSHA)에 결혼 신청서를 제출했는데 SS 대원이 결혼을 하려면 배우자가 아리아 인이라는 것을 RuSHA에 입증해야 했다. 베라가 체코인이었기 때문에 아이히만은 문서를 작성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던 것 같으며 1935년 3월 21일 파사우에서 베라와 결혼했지만 6 빌헬름 헤틀 SS 소령에 의하면 부인의 출신지가 체코라는 것이 아이히만에 대한 비판거리 중 하나였다고 한다. 7 8
아이히만 부부는 1936년 첫아들 클라우스를 얻었고, 1940년에는 비엔나에서 차남 호르스트를 그리고 나중에 셋째 디터가 태어났다. 독일이 패전한 이후 베라는 오스트리아에서 미군 첩보부에 조사를 받았으나 ‘아이히만과는 1945년 3월에 이혼했고 그 이후로는 연락이 없어서 내게는 죽은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그 이후 베라는 아이히만의 지명수배를 풀기 위해 1947년에는 사망신고를 하려했지만 아이히만이 프라하에서 총살당하는 걸 목격했다는 증인이 베라와 깊은 친분이 있는 사람이라는 점을 시몬 비젠탈이 입증해서 무산되었다고 한다. 9 둘이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다음 막내 히카르도가 태어났다. 10
나찌 경력
아이히만은 아버지의 친구인 에른스트 칼텐브루너의 소개로 1932년 오스트리아 나찌당에 가입하고 (당원번호 889,895) 친위대(Schutzstaffel, SS) 후보가 되었으며 이듬해에는 친위대원 번호 45326으로 정식대원으로 살츠부르크에서 훈련을 받고 일반친위대원(Allgemeine SS)이 되었다. 1933년 나찌당이 독일에서 권력을 장악하던 시절에 아이히만은 33년 8월부터 34년 9월까지 레히휄트와 다하우에서 ‘오스트리아 부대’로 훈련을 받았는데 관료주의와 군사훈련에 실증을 느껴 SS 보안국에 전출을 신청했다. 1934년 9월 나찌 내무부 SD의 프리메이슨 담당부서로 이속된 아이히만은 이곳에서 같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친구 레오폴드 폰 밀덴스타인 친위대 소위가 과장으로 있던 SD 베를린 총국의 유대 부서에 스카웃 되면서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했다. 11 12 13
1934년 11월 베를린으로 옮긴 아이히만은 1935년 총분대장으로 승진하는 등 출세가도을 달리기 시작해 1937년에는 친위대 소위로 진급했다. 그 해에 아이히만은 팔레스타인으로의 유대인 이주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 하이드리히의 허가를 받아 유대인 이주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영국령 팔레스타인 식민지에 파견되었다. 그는 카이로에서 유대인 민병조직 하가나 멤버들과 접촉해 이주에 관한 제반사항을 논의했으나 14 아랍 계 지도자들이 접촉을 거부하고 영국 식민성도 유대인 이주를 거부한데다 나찌 내부의 방침도 바뀌면서, 결국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을 이주시키는 문제는 흐지부지하게 끝났다. 15
빈과 프라하
1938년 오스트리아와 독일이 합병되자 비엔나에 파견된 아이히만은 이곳에서 SS조직 구성에 공을 세워 친위대 중위로 승진했고 유대인 관리총국에서 오스트리아 내 유대인을 축출하는 ‘전문가’로 떠올랐다. 당시 아이히만은 오스트리아에서 망명을 원하는 유대인들의 재산을 전부 몰수하는 정책을 실시해 1938년 10월 21일의 보고서에서는 9월말까지 반년만에 5만명의 유대인을 추방했다고 적었다. 같은 시기의 독일에서 추방된 유대인 수가 19,000명이었다는 걸 고려하면 상당한 성과였다. 그와 함께 그의 근무 평점도 높아지면서 ‘남다른 협상능력, 화술, 조직력’이나 ‘정력적이고 기민한 활동이 두드러지며 관리능력이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유대인 이주문제의 권위자’라는 명성을 얻었다.
헤르만 괴링(당시 명목상으로는 괴링이 유대인 문제의 총 책임자였다.)이 1939년 1월 설립한 베를린 내무부의 ‘유대인 이주 중앙본부’가 아이히만의 방침을 독일 전국에 확대하는 등 그 능력을 인정받은 아이히만은 1939년 3월 합병된 체코의 옛 수도 프라하에 파견되어 이곳에서 유대인 이주 총책임자가 되어 새로 조직을 구성했지만 이 시기는 오래가지 않았다.
2차대전
2차대전의 발발과 함께 친위대 대위로 진급한 아이히만은 1939년 제국보안총국(Reichssicherheitshauptamt)이 창설되자 베를린으로 돌아와 유대인 제거 전담인 제4과 국장이 되었다. 16 17 18
1940년 6월 프랑스가 독일에 항복하면서 독일의 지배영역이 급격히 확대되자 독일의 지배영역내에 거주하는 유대인의 수도 약 325만명으로 급증해 그들의 처리 문제가 심각해지자 이듬해에는 마다가스카르 프로젝트(유대인을 마다가스카르로 전원 강제 이주시키는 계획)에 착수했지만 실행에 옮기지는 못했다. 1940년 말 SS 소령으로 진급한 아이히만은 1년도 지나지 않아 다시 중령으로 진급했는데 이 시기에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가 독일 점령지역내의 유대인은 전원 살해하도록 지침을 내리면서 아이히만의 대유대인 방침도 ‘최종 해결’을 향해 치닫기 시작했다. 19 20
유대인 문제의 최종 해결
1942년 1월 20일, 하이드리히는 아이히만에게 유럽 내 유대인의 제노사이드를 공식적으로 결정하게 될 ‘반제 회담’에 회의록 작성 담당 비서로 참석시켰다. 이 회담 이후에 그는 '유대인 문제에 대한 최종해결'의 수송부서 책임자가 되었으며 1942년 3월 6일과 10월 27일의 ‘유대인 문제의 최종 해결을 위한 부처간 회의’에서는 아이히만이 의장을 맡았다.
1942년 3월 부터 절멸 수용소로 이송이 시작되자 그 프로젝트의 핵심이 된 아이히만은 유대인들을 점령지인 폴란드 내의 수용소로 이송하기 위한 모든 열차 운영권한을 이임받아 국가 총력전 태세로 혼잡하던 독일에서 교통부와 절충해 열차를 확보하는 수완을 보이며 2년간 500만명의 유대인을 기차로 날라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1944년 아이히만은 소련군이 도달하기 전, 독일이 점령중인 헝가리에 파견되어 유럽 유대인을 서구 연합국의 트럭 및 기타 물자들과 교환하기 위한 교섭에 착수했으나 긍정적인 답변을 받지 못하자 다시 유대인 제거에 착수해 불과 2달만에 147개의 열차를 동원해 약 43만명의 헝가리 유대인들을 아우슈비츠 가스실로 인도했다. 1945년 하인리히 히믈러가 유대인 학살을 중단하고 최종해결에 관련된 모든 증거물을 파괴하라는 지시를 내렸지만 아이히만은 히믈러의 변심에 반발해 공식적인 명령을 무시하고 헝가리에서의 작업을 계속했다. 그와 함께 독일의 마지막 군사적 발악에 말려드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헝가리에 남아 무장친위대 지휘관으로 실전 지휘 임무도 맡았다.
종전 이후
1945년 독일의 패색이 짙은 상황에서 소련군을 피해 헝가리에서 도주한 아이히만은 오스트리아로 옮겨 이곳에서 옛친구 에른스트 칼텐브루너를 만났으나, 칼텐브루너는 아이히만과 협조하기를 거부하고 연합군에 절멸 작전의 책임자로 그를 지목했다.
2차대전이 끝날즈음에 아이히만은 미군에게 체포되었지만 '오토 에크만'이라는 가명으로 신분을 위장하고 1946년 초 미군의 포로수용소에서 탈출했다. 이후 독일 남부의 휴양지 뤼네부르크 히스의 작은 마을 알텐살츠코스에서 몇년간 은신해있던 아이히만은 1948년 아르헨티나 입국허가를 획득하는데 성공하고 도주의 기회를 엿보기 시작했다. 1950년 초 이탈리아로 건너간 아이히만은 초창기의 추축국 전범들의 도주루트 개척자들 중 한명인 알로이스 후달 추기경과 친분이 있는 한 프란치스코 회 수도사의 도움으로 이곳에서 리카르도 클레멘트라는 이름으로 난민자격을 취득했다. 이로써 아이히만은 '리카르도 클레멘트, 기술자' 앞으로 발행된 이탈리아 제네바 발행의 국제 적십자사 인도주의 여권을 취득하고 아르헨티나 비자를 얻었다. 1950년 7월 14일, 아르헨티나행 배에 승선한 아이히만은 이후 10년간 부에노스 아이레스 근처에서 공장 관리자, 중견 수도공, 전문 토끼 생육가 등등 몇가지 직업을 전전했다. 심지어 가족들도 아르헨티나로 불러들였다. 21
체포
건국 1년뒤인 1949년, 이스라엘은 공식첩보부 모사드를 창립했는데 초창기 모사드의 주요 업무중에는 나찌 전범을 추적해서 기소하는 것도 있었다. 1950년대에 수많은 유대인과 홀로코스트 희생자들이 아이히만을 비롯한 악명높은 나찌 전범들의 추적에 헌신하고 있었고 그 중에는 시몬 비젠탈이 있었다. 1954년 비젠탈은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거주하는 지인에게서 아이히만이 아르헨티나에 있다는 전보를 받았다. 전보의 내용은 부분적으로 공개된 바에 의하면 Ich sah jenes schmutzige Schwein Eichmann. ("더러운 아이히만 놈을 보았네.") Er wohnt in der Nähe von Buenos Aires und arbeitet für ein Wassergeschäft. ("부에노스 아이레스 근처에서 물회사 직원으로 일하고 있더군.")라는 것으로 이 전보를 포함해 비젠탈이 수집한 정보들을 토대로 이스라엘은 아이히만의 소재지에 대한 확고한 단서들을 확보했다. 하지만 모사드 국장 이제르 하렐은 나중에 출간되지 않은 문서에서 비젠탈이 아이히만의 ‘소재 확인에 도움을 준 것이 없’으며 오히려 아이히만 작전을 위험에 빠트렸고 요제프 멩겔레 체포 계획을 중단하는 계기만 만들었다고 적어놓았다. 또, 아이히만 본인은 가명을 사용했지만 아내와 자식의 이름은 바꾸지 않았으므로 이것이 그의 체포에 결정적인 단서가 되었다. 22 23
아이히만의 정체를 밝히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로타르 헤르만의 정보였다. 그는 유대민 이주자 출신 노동자로 다하우 수용소에서 아이히만이 감독관으로 근무하던 시절에 아이히만을 본적이 있었고 나중에 독일에서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헤르만은 1950년대부터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가족들과 함께 새 삶을 꾸리고 있었는데, 그의 딸인 실비아가 아이히만 가족과 친분을 갖게 되었고 클라우스 아이히만과 연애를 시작했다. 클라우스는 아버지가 나찌였으며 홀로코스트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인정해 주었다. 1957년 헤르만은 독일의 전쟁범죄자들에 관한 기사를 읽다가 아이히만의 진정한 정체를 깨닫게 되었다. 곧 헤르만은 실비아에게 아이히만의 집에서 사실을 알아오게 했고 결국 아이히만 본인을 만날 수 있었다. 클라우스가 집에 없다는 걸 알고 그가 아버지를 확인하자 아이히만이 확인해 주었다. 헤르만은 즉시 헤센 서독 정부의 주 감독관이었던 프리츠 바우어와 접촉해 아이히만의 삶에 관한 상세 정보를 제공받았다. 헤르만은 이후 이스라엘 정보요원과 접촉해 이후 수년간에 걸쳐 아이히만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 그를 체포할 계획을 세웠다.
1959년 모사드는 아이히만이 부에노스 아리에스에서 리카르도 클레멘트라는 가명으로 지내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정확한 위치 추적에 나섰다. 면밀한 조사 끝에 리카르도 클레멘트가 아돌프 아이히만이 확실하다고 결론을 내린 이스라엘측은 아이히만 체포를 위한 협력 작전을 승인하고 그를 전쟁범죄자 혐의로 예루살렘에 불러들이기로 결정한다. 모사드와 신 베트의 협력하에 이스라엘은 1960년 1월 내내 아이히만을 감시했으며 그가 3월 21일 25번째 결혼 기념일에 아내에게 꽃을 배달하는 것도 중요한 단서였다. 24
아이히만은 1960년 5월 11일, 부에노스 아이레스 교외에서 모사드와 신베트 요원들에게 체포되었다. 아이히만의 정체를 확인한 1960년 4월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도착한 모사드 요원들은 추가적인 관찰을 수행한 뒤, 일단의 요원들을 배치해 메르세데스 벤츠 공장에서 근무하던 아이히만이 집에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모사드의 작전은 버스 정류장에서 집까지 걸어오는 동안 아이히만을 체포한다는 것이었고 번호판을 위장한 지원 차량도 준비되었다. 그들로서는 아이히만이 사라지기 전에 체포할 수 있을지가 확실치 못했다. 25
아이히만이 집에 갈때 항상 이용하던 버스에서 아이히만이 보이지 않았을 때 계획은 거의 중지될 뻔 했다. 게다가 고장난 자동차를 수리하는 척 위장하고 있던 모사드 요원들을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이상하게 보아서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다. 하지만 거의 30분이 지난 시점에 아이히만이 버스에서 내렸다. 모사드 정보요원이 그에게 접근해 스페인어로 잠시만 시간 좀 내주겠냐고 말했을 때 아이히만은 놀라서 도망치려 했지만 모사드는 그에게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비추었다. 모사드 요원 2명이 그에게 달려들어 그를 땅에 눕힌 뒤 자동차로 데려갔다. 차에서 그는 모사드 요원들에게 ‘나는 이미 내 운명을 받아들였다’고 반복해서 말했다. 위조번호판으로 경찰의 검문을 피한 모사드 요원들은 아이히만을 안전 가옥까지 데려갔다. 그곳에서 아이히만은 의자에 묶이고 재갈을 풀린 채 심문을 받았다.
클레멘트가 아이히만임이 확실하다는 결론이 내려지자 아이히만은 즉각 처형되던지 이스라엘에서 재판을 받을지를 선택하도록 했다. 아이히만이 재판정에 서겠다고 하자 요원들은 아르헨티나 당국의 감시를 벗어날때까지 안전가옥에 가둬두었다. 아이히만에게 약을 투여하고 술에 취한 것처럼 꾸민 다음 승무원 복장을 입힌 모사드 요원들은 그를 아르헨티나 독립기념일 행사에 참석했다가 돌아가는 이스라엘 정부관계자들을 귀국시키는 엘 알 브리스톨 브리타니아 항공기에 태우고 다카르를 경유해 1960년 5월 21일에 이스라엘로 데려오는데 성공했다. 26
한동안 이스라엘 정부는 아이히만 체포에 관한 모든 내용을 부인했으며 아이히만을 이스라엘 당국에 넘기려고 하는 유대인 지원자들에 의해서 그의 체포가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
아르헨티나 과격우파들 사이에서 반유대주의 분위기가 고조되고 극우파인 타쿠아라 민족주의들은 고문, 습격, 폭탄테러, 납치를 자행하는 가운데 이스라엘 수상 벤 구리온과 아르헨티나 대통령 아르투로 프론디지는 협상에 들어갔다. 27
벤 구리온은 이스라엘 국회 크네셋에서 5월 23일 아이히만의 체포에 관한 내용을 발표해 기립박수를 받았다. 작전의 총 책임자인 모사드 국장 이제르 하렐이 가리발디 가의 자택에서 아이히만의 체포에 관한 책을 저술하고 있다. 이 책은 동명의 영화가 되었다. 몇년후 납치팀의 일원이었던 피터 말킨은 ‘내가 체포한 아이히만’이라는 책을 저술해 아이히만의 성격과 동기들을 기록했으나 정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아이히만 재판
아이히만 재판
아이히만의 재판은 예루살렘에서 시작되었다. 1961년 4월 11일, 예루살렘 지역법원에 선 아이히만은 15가지 죄목으로 기소되었는데 그 내용은 인도에 대한 범죄, 전쟁 범죄, 유대인에 대한 범죄, 불법조직 가담죄 등을 포함했다. 이스라엘 형법에 의거해 재판에는 모쉐 란다우, 베냐민 할레비, 이즈하크 라베 이상 3명의 재판관이 배당되었다. 수석 검사는 이스라엘의 어토니 제네럴 기드온 하우즈너가 맡았다. 세명의 판사는 플레인 다이즈 위에 앉았다. 베트 하미쉬파트, (Beit Ha'am, 오늘날의 게라르드 베하르 센터. 예루살렘 번화가의 오디토리움) 히브리어로 ‘정의관’이라는 이름의 건물에서 재판이 시작되었고 아이히만은 희생자 가족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탄유리로 둘러쌓인 피고석에 앉았다.
이 재판은 국제적으로 엄청난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화제가 되었다. 이스라엘 정부는 거의 제한없이 전세계에 재판과정을 언론매체들이 생방송할 수 있도록 허가랬다. 재판에는 수많은 증인들이 소환되면 시작되었는데, 증인들 중에는 아이히만이 절멸 캠프에 희생자들을 수송하는 과정에서 맡은 역할에 대한 증언을 할 홀로코스트 생존자도 있었다.
검사측의 주요 증인 중 한명은 1945년 미군 장교였던 미국인 판사 마이클 A 무스마노였다 .무스마노는 뉘른베르크의 피고들을 심문했었고 나중에 펜실베니아 최고 법정에서 판사로 근무했다. 그는 말년의 헤르만 괴링이 ‘아이히만은 어떤 나라에 어떤 명령을 내려서건 유대인을 처형할 지를 결정할 권한이 있었다는 것이 명확하다.’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검사측의 논고가 끝나고 아이히만의 변호인을 맡은 로베르트 세르바티우스와 디터 베흐텐브루흐는 왜 자신들이 검사측 증인에 대해서 반대심문을 진행하지 않는지 이유를 설명하는 것으로 변론을 시작했다. 아이히만은 변호사들에게 자신은 홀로코스트 중에 일어난 사실들에 대해서 논쟁하지 않겠다고 의사를 밝현다. 재판중에 아이히만은 자신이 단지 ‘명령을 따랐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1945 ~ 1946 기간 동안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나찌 전범들이 주장한 논지와 같았다. 아이히만은 자신이 거의 권한이 없는 ‘배달부’에 불과했다고 주장하면서 ‘나는 아무것도 한 것이 없다. 크건 작건 아돌프 히틀러나 그외의 어떤 상급자의 지시에 아무것도 덧붙이지 않고 성실히 임무를 수행했을 뿐’이라 증언했다. 그에 대한 반대 심문에서 하우즈너 검사는 아이히만에게 스스로가 수백만 유대인의 사망에 죄책감을 느낀적이 있는지를 질문했다. 아이히만은 ‘법률적으로는 그렇지 않지만 인간적으로는, … 그렇다. 내가 그들을 수송한 것에 대해서는 책임이 있다.’고 대답했다.
하우즈너는 그에 대해 아이히만 본인이 1945년에 말한 내용을 증거로 제시했느데 그것은 ‘나는 웃으며 죽을 수 있다. 내가 5백만명의 인간을 마음대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은 특별한 만족감의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는 내용이었다. 그에 대하여 아이히만은 자신은 오직 ‘제3제국의 적’들만을 언급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28
변호사측 증인은 대부분 전 나찌 고위 관료들로,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재판에 대한 증언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면책 및 안전을 보장받은 이들이었다. 이들은 모두 이스라엘 입국을 거부했지만 대신 법원 데포지션을 보냈다. 그들 중 누구도 아이히만이 주장한 ‘명령을 따랐다’는 주장을 지지해주지는 못했다. 다만, 1944년 부다페스트의 SS 경찰 지휘관이었던 오토 윙켈만의 증언에서 그는, ‘아이히만은 타고난 2인자로 자신의 권력을 책임감이나 도덕적 후회없이 휘두르는 사람이다. 자신이 지도자(아돌프 히틀러)의 뜻에 따라 행동하기만 하면 권한을 넘어서도 된다고 생각했다’고 적었다.
독일 비밀 정보부의 전직 SS 소장이던 프란츠 식스는 바다사자 작전이 성공했을 경우의 영국 보안 총괄자로 내정되어 있었는데, 그의 데포지션은 아이히만이 철저한 나찌즘 신봉자이며 가장 극단적인 나찌당의 강령에 따라서 행동했고, 아이히만이 다른 부서장들보다 더 커다란 권력을 갖고 있었다는 내용이었다.
이후 14주 동안 1,500건 이상의 문서와 100여명의 증인(90명은 나찌 수용소의 생존자들이었다.)과 약 16개국에서 외교 루트를 통해 보내진 수십여명의 증언들을 검토한 끝에 아이히만 재판은 8월 14일에 끝났다.
체포와 관련된 국제적 논쟁(재판 관할권 및 주권 침해)
1960년 6월, 이스라엘과의 비밀 협상이 실패로 돌아가자 아르헨티나는 국제안전보장이사회에 긴급 회의를 요청해 ‘아르헨티나 공화국의 주권 침해’에 대한 사항을 확인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대하여 이스라엘 수상 골다 메이어는 납치자들이 이스라엘 요원들이 아닌 민간인에 불과하고 이 사안은 ‘아르헨티나 법률’을 위반했을 뿐임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이사회는 결의안 138호를 통해 이스라엘에게 ‘아이히만이 자신이 저지른 범죄에 대한 적절한 정의'에 따른 ‘적합한 처분을 받을 것을 보장’하고 ‘결의안은 아이히만이 저지른 범죄에 대한 어떤 처분도 내리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29 30
이후 협상이 진행되어 8월 3일, 이스라엘과 아르헨티나는 논란을 종결짓기로 합의하고, ‘이스라엘과 아르헨티나 공화국 정부는, 양국의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증진할 것을 촉구하는 1960년 6월 23일의 안전보장 이사회 결의안에 따라 이스라엘 내국인들이 아르헨티나 법을 침해한 것에 관한 사건이 종결된 것으로 합의한다‘라는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 31
이후의 재판과 심의 과정에서 이스라엘 법원은 아이히만의 체포와 관련된 문제를 거론하지 않고, 대신에 체포과정에서 일어난 법률적 문제에 대해서는 재판의 당위성에 대한 어떠한 함의도 없음을 밝혔다. 이스라엘 법원은 이는 ‘아르헨티나는 주권에 대한 침해에 항의했으나 그 항의를 철회함으로써 그 와중에 분명히 이 사건에 연관된 국제법 위반이 없음을 인정했음’에 따른다고 적었다. 32
이에 따라 어떤 국가의 법률을 위반하였기 때문에 재판에 회부된 자가 그 체포 및 연행의 위법성을 이유로 재판을 거부할 수 없다는 것은 법원칙이며 영국, 미국 및 이스라엘의 판례가 확인한 것이다. 그래서 아르헨티나의 주권 침해에 관한 문제는 이스라엘과 아르헨티나 양국간의 외교적 문제이며 피고가 주장할 수 있는 성질의 문제가 아니다. 이 문제는 이미 양국 정부의 공동성명에 의해 해결되었으므로 더 이상 국제법 위반을 이유로 하는 재판관할권에 대한 이의제기는 인정되지 않았다 33
소급효의 문제
‘피고가 저지른 범죄는 이스라엘 국경 밖에서, 이스라엘 국가가 성립되기 이전에, 이스라엘 국민이 아닌 사람들에 대해서 이루어진 범죄’이므로 이스라엘 재판부가 처벌할 수 없다는 주장에 관하여 아이히만 사건 재판부가 제시한 법적 근거는 1950년 제정된 ‘나찌 및 나찌 협력자에 대한 (처벌)법’으로, 이었지만 그에 관해, 34
1) 피고의 범행은 뉘른베르크 재판, 유엔 총회 결의안, 제노사이드 조약에 의해 확인된 ‘인도에 관한 범죄’이며 ‘국제법상의 범죄’로 보편적 성질을 갖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관할권은 해적행위와 같이 보편적 성질을 갖으며, 국제형사 재판소가 존재하지 않는 않는 오늘날 범죄지 또는 범인의 국적과 관계없이 각국은 이와 같은 범행을 처벌할 수 있으며 또한 처벌해야 하는 의무를 지고 있다. 따라서 그에 대한 처벌을 규정하는 이스라엘의 법률은 국제법에 합치된다. 35
2) 제노사이드 조약 제6조는 범죄지역의 법원에 재판관할권을 부여하고 있지만 동 규정은 조약 제1조와 달리 국제법 또는 국제관습법을 규정한 것이 아니며 장래의 범죄에 대한 관할권을 규정한 실무적인 것으로 이미 ‘국제법상의 범죄’로 인정된 ‘대량학살죄’를 범죄지 이외의 국가가 처벌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3) 외국인의 범죄에 대한 국가의 형사관할권은 국제법 원칙에 저촉되지 않는 한 소급효 금지 원칙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 대량학살과 같은 ‘인도에 대한 죄’에 이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은 뉘른베르크 재판에서도 확인되었고 유럽 제 국가의 입법 정책에 의해서도 인정된다. 36
라는 논리로 이의제기를 인정하지 않았다.
국가행위의 문제
아이히만의 변호인단은 피고의 과거 행동을 ‘국가행위’라고 주장하고 있었으며 아이히만같은 사람은 언제든지 다시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독일정부가 이스라엘 법정에 포기하고 국제법에 반해 처벌되는 ‘명백한 희생양’이라고 주장했다. 아이히만 본인도 자신은 ‘언제나 진실을 말하려 하였으나 재판부가 그를 믿지 않았으며 자신은 결코 유대인 증오자가 아니라’고 변명하였다. ‘자신의 죄는 의무이행에서 온 것이고 복종은 미덕으로 칭송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는 지배써클이 아니기 때문에 자신이 희생자이며 지도자만이 처벌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뉘른베르크 재판이 인정하는 것처럼 국가대표가 보호되는 일정한 국제법상의 규칙들은 국제법상 범죄로서 비난받는 행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명백히 나찌 독일은 그 ‘국가행위’로 수행한 모든 범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지만 그로 인해 피고의 개인적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뉘른베르크 재판 및 1946년 12월 11일 유엔총회 결의에 의해서 인정된 국제법상의 원칙이라는 이유로 이 또한 인정되지 않았다.
판결
이 시점에서 재판관들은 조용히 심의를 진행하고 12월 11일, 세명의 재판관은 판결을 내렸다. : 아이히만에 대한 모든 기소 내용에 유죄를 판결한다. 비록 1941년 히틀러의 명령을 통고받기 전의 모든 죄에 대해서는 ‘유대 민족을 말살하기 위한 고의가 없다’는 이유에서 비록 비인도적인 범죄 또는 통상적 범죄가 될 지언정 한 민족에 대한 절멸적 의도를 담고있는 범죄가 아니라는 점에서 전부 무죄가 선고되었으나 41년 이후의 범죄에 대해서는
- 수백만명의 유대인을 학살하도록 지시하고
- 수백만명의 유대인을 육체적 파멸로 이어지는 조건에서 생활하도록 하고
- 그들에게 육체적, 정신적으로 심각한 위해를 가하고
- 유대인 여성의 출산을 금지하고 임신을 중절시켰다
라는 근거로 ‘유대 민족의 절멸’을 의도하는 범죄를 저질렀다는 이유였다.
이 선고공판은 2일에 걸쳐서 약 244개 부분으로 나뉘어진 판결문을 3명의 재판관이 낭독하는 절차가 이어졌고 아이히만은 이 시점에서 자신이 사형을 언도받으리라 예상했다. 12월 15일, 법원은 예상대로 사형을 선고했다. 아이히만은 이스라엘 재판부의 법률적 판단과 자신이 기소된 법률의 정당성에 대해서 항의했으며 자신이 ‘불소급의 원칙’에 의해 보호받아야 하고 ‘명령에 따랐을 뿐’이라는 변론을 거듭했다. 37
항소를 받은 이스라엘 대법원은 똑같은 공방을 되풀이 한 다음 1962년 5월 29일, 피고의 항소를 거절하고 모든 항목에서 원심판결을 인용하면서 다만, ‘명령을 따랐을 뿐’이라는 주장에 대해 ‘아이히만은 자신보다 상급자의 명령을 받은 것이 아니라 그 스스로가 자신의 상급자로 유대인 문제 – 이른바 최종해결 - 에 관련된 모든 명령을 지시했음’을 지적하면서 '아이히만이 아니었더라도 사태는 호전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변호인단의 주장에 대하여 ‘수백만명의 유대인을 고문하고 피부를 벗겨내는 지옥보다 끔찍한 만행은 아이히만과 그 부하들의 광신적인 열기와 피에 대한 끝없는 갈망이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었다’고 선고했다.
같은날 히브리 대학의 마르틴 뷔버를 포함한 수많은 유명인들과 아이히만의 처와 자식들이 제출한 탄원서가 이스라엘 대통령에게 전달되었으나 5월 31일, 이즈하크 벤 즈바이는 아이히만에 대한 사면요청을 모두 거절했다. 38 아이히만의 아내 베라가 보낸 사면요청에 대해서 벤 즈바이는 사무엘서 상권을 인용해 ‘너의 칼이 많은 어머니들의 자식을 잃게했으니 너의 어머니 또한 자식을 잃은 여자가 될 것이라.’는 말을 친필로 적어 보냈다. (사무엘 상 15:33, 사무엘이 아말렉 왕 아각에게 한 말) 39 40 41
처형
아이히만은 1962년 5월 31일, 라믈라의 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했다. 일반적으로 사형 선고를 하지 않는 방침을 갖고 있는 이스라엘에서 유일하게 사형이 집행된 사건으로, 아이히만은 마지막 식사를 거부하고 대신에 이스라엘 산 적포도주 카르멜을 반병 정도 마셨다. 또, 사형집행 전에 전통적으로 입히는 검은 두건도 거부했다.
아이히만의 유언에 대해서는 몇가지 논란이 있는데 예컨데,
독일 만세. 오스트리아 만세, 아르헨티나 만세. 오랫동안 살았던 나라들을 잊지 않겠다. 나는 전쟁의 규칙과 정부에 복종했을 뿐이다. 나는 준비되었다. 42
런던 대의 왕립 홀로웨이 역사 연구소 교수이며 저명한 홀로코스트 역사가인 다비드 케사라니는 그의 마지막 말이
독일 만세, 아르헨티나 만세, 오스트리아 만세. 이 세 나라는 내가 가장 많이 연관되었고 잊지 못하리라. 아내와 가족, 친구들에게 인사했다. 나는 준비되었다. 모든 사람이 그러하듯 우리는 곧 다시 만날 것이다. 나는 신을 믿으며 죽는다. 43
처형당한뒤 얼마 후 아이히만의 시신은 특별히 준비된 절차에 따라 소각되었는데, 소각로는 누구도 감히 접근할 수 없을 정도로 뜨거웠고 길게 설치된 트랙을 통해 시신이 투입되었다. 이튿날인 6월 1일, 그의 재는 이스라엘 수역 밖의 지중해에 이스라엘 해군 경비정이 뿌렸다 .이것은 어느 나라도 그의 사망지를 차지할 수 없고 어떤 기념 행사로 열릴 수 없게 하기 위한 조치였다. 44
기타사항
아이히만의 행동에 대한 해석
히틀러가 독일에서 집권한 뒤 독일을 벗어난 정치 이론가 한나 아렌트는 아이히만 재판에 관한 내용을 뉴요커 지에 기재하고 이를 토대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출판하면서 유명해졌다. 아렌트는 아이히만이 반유대적인 성향이나 심리학적인 문제없이 단순히 성공적인 경력을 쌓기 위해 그 모든 학살을 수행했다고 결론을 내리면서, 아이히만이 재판에서 증오감이나 죄책감 보다는 평범하고 소시민적인 성격을 보여준 것은 그의 ‘전형적인 평범한 악인’의 성향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그녀는 이것이 나찌 범죄자들이 특이한 사이코패스라거나 일반적인 사람들과 다르다는 생각의 신빙성을 두드러지게 낮추는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이 책은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45
스탠리 밀그램은 아렌트의 작업을 보다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이 특정한 상황에 처하거나 죄책감을 벗을 계기를 찾는다면 끔찍한 범죄를 저지를 수 있음을 말해준다고 보았다. 실험자들에게 단순한 의학 실험이라고 설득해서 또 다른 시험 참가자에게 수백볼트의 전기고문을 가하게 만든 심리실험으로 유명한 밀그램은 ‘아렌트의 소악마에 대한 생각은 다른 대담한 생각들 보다 진실에 가깝다고 동의해야만 한다’고 적었다. 46 47
하지만 아렌트는 아이히만이 평범한 사람이었다던지 다른 누구라도 그의 직책을 맡았다면 똑같은 일을 했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는 않았다. 아렌트는 아이히만이 도덕적 책임감을 무시한 것은 자율성에 의거한 것이며 아이히만은 자신이 그저 명령에 따랐을 뿐이며 그는 ‘관료제’의 책무를 존중했을 뿐이라고 주장했으나 바꾸어 말하자면 그는 명령에서 의문을 품지 않았다는 자체가 도덕에서 눈을 돌려버린 것이라고 보았다. 48
최근에 독일연방 쾨블렌츠 문서보관소에서 기밀 해제된 1950년 기록된 테입에 의하면 아이히만은 자신이 ‘그저 명령만을 수행하는 평범한 사람’이 아니고 ‘이상주의자’라고 보았다고 한다. 이것은 1961년 예루살렘 재판에 아이히만의 변호인단이 주장하던 ‘단지 명령을 따랐다’는 내용을 부인하는 것이다. 49
CIA 조사
2006년 6월, 나찌 전범 은닉 네트워크가 반공주의와 연관되어 있다는 내용의 CIA문서가 기밀해제되었다. 서독 CIA 분서가 제출한 2만7천건의 문서들 가운데 1958년 3월 메모에서는 1952년부터 아이히만이 클레멘트라는 가명으로 아르헨티나에서 거주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하지만 CIA는 이 정보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 사실이 알려져 아이히만이 체포될 경우에 미국과 독일 정부가 2차대전 이후 나찌 전력이 있는 전범들의 과거를 위장해 주었다는 사실이 드러날 우려가 있었기 떄문이다. 예컨데 당시 콘라드 아데나워가 수장으로 있던 서독 정부에서는 아이히만이 정부 관료들, 특히 아데나워의 국가 안보 보좌관, 한스 글롭케가 과거에 유대인 문제에 관해 공동으로 작업을 진행했으며 1935년 뉘른베르크 법안의 초안작성에 관여했다는 과거에 대해서 증언할 것을 우려했다. 50 51 52
이리하여 서독 정부의 요청에 의해 CIA는 라이프 지가 아이히만의 가족들에게서 구매한 비망록에서 메모에서 글롭케에 관한 모든 내용을 삭제하도록 지시했다. 이 시기에 CIA와 서독정부가 이 정보를 독점하고 있었으므로 이스라엘은 아이히만의 가명을 밝혀내지 못해 탐색을 일시 중단하고 있었다. CIA나 미국 정보 모두 이 시기에는 구 나찌 전범들에 관한 추적을 시도하지 않고 있었으며 오히려 아이히만과 글롭케 외에도 CIA의 독일내 스파이 수백명을 선발한 라인하르트 겔렌의 과거도 은폐하고 있었다. 53 54
서독 정부의 압력 행사 시도
2011년 슈피겔 지가 밝힌 독일 비밀 문서에 의하면 아데나워 행정부는 아이히만이 체포된 다음 패닉 상태에 빠졌다. 서독 정부는 이 재판으로 아데나워 수상의 안보 담당 보좌관이며 Chancellery Chief였던 한스 글롭케를 비롯해 서독 정부내 나찌에 협력한 경력이 있는 고위 공직자들의 과거가 밝혀질 것을 두려워했다. 독일 정보부 출신의 롤프 보겔은 자이퉁 지의 기자로 위장해 재판에 참석했다. 보겔은 이스라엘 심사관들과 접촉해 글롭케를 비롯한 나찌 협력자들에 대한 추가 조사를 수행하지 않아줄 것을 부탁했다. 당시 이스라엘 수상이었던 다비드 벤 구리온과 접촉해 서독 정부의 우려를 전달할 계획도 세웠다. 보겔은 글롭케 등의 이름이 재판에서 거론되지 않으리라고 판단했다. 그와 동시에 서독과 이스라엘 간의 대량 무기 거래 협상이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재판중에는 아무런 언급이 없었고 아이히만과 협력했던 전 나찌 출신 공직자들에 대한 공개적인 거론도 없었다. 1962년, 독일 정부는 각종 군사원조와 함께 2억4천만 마르크를 이스라엘에 제공했다. 55
요제프 멩겔레
이스라엘 첩보국장(1952 ~ 1963)을 역임한 이제르 하렐은 1960년 당시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의 아이히만 체포작전을 성공적으로 지휘했는데 나중에 동승한 조종사에게 ‘몇주만 더 작전을 일찍 수행했다면 이 비행기에는 멩겔레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스라엘 정보부 요원들이 마지막으로 ‘살인마 의사’ 멩겔레의 위치를 추적했을 때 그는 겨우 2주 전에 이사했던 것이다. 56
아이히만의 어록
백명의 죽음은 재앙이지만 만명의 죽음은 통계에 불과하다. 57 58
그 시절에는 ‘너의 아버지는 배신자’라는 말을 들었다면 친아버지라도 죽였을 것이다. 나는 당시 명령에 충실히 따르기 위해, 수행하기 위해, 정신적 만족감을 얻기 위해 무슨 일이던 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59
연합군이 독일의 도시를 공습해서 여자와 어린이, 노인을 학살한 것과 다르지 않다. 부하는 (민간인 학살 명령이라도) 명령을 실행한다. 물론 그걸 거절하고 자살할 자유는 있다.(민간인을 학살하라는 명령에 의문을 갖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대하여) 60
주변 인물들의 평가
컴플렉스는 그의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SD의 책임자들은 대부분 대학 졸업자였으나 그는 학교 졸업증이 없었으므로 대단한 컴플렉스가 있었다. 거기에 동료들이 ‘유대인을 닮았다’라고 놀린 것도 불쾌감과 컴플렉스를 더했다. 아이히만은 그 때문에 심한 상처를 입었다. – 친위대 소령 빌헬름 회틀. 62
그는 비교적 단순한 사람이었다. 지성은 크게 관심을 끌만한 것이 없었고 천재적인 면은 없었다. 무뚝뚝한 친위대원이었다. – 친위대 소장 프란츠 짘스 63
빨갱이를 전부 죽이라고 하건, 이름이 K로 시작되는 인간은 다 죽이라고 하건, 명령을 받으면 그대로 실행하는 사람이다. – 시몬 비젠탈 64
그렇게 까지 영혼을 팔아버린 상태의 사람을 지금까지 본적이 없었다. 그동안 우리는 지적수준이 매우 높은 사람들을 상대해 왔었지만 하지만 우리 앞에 있는 것은 존재감이 없는, 하나부터 열까지 협조적으로 불편을 주지 않고 때로는 자발적으로 협조하기도 하는 얼빠진 사람이었다. – 모사드 장관 이제르 하렐 65
만약 그가 더 인간적이었다면 그의 인간성은 그런 사악한 계획에 협조하는 것을 용납치 않았을 것이다. 그가 더 비인간적이었다면 업무능력이 부족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는 그 중간에 해당해서 버튼을 누르라고 하면 버튼을 눌렀을 때 어느 누가 죽더라도 상관하지 않는 그야말로 진부한 인간 그 자체였다. – 심리학자 브루노 베텔하임 66
아이히만의 문제는 과거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우리는 누구나 아이히만의 후예이며 최소한 아이히만 적 세계의 후예이다. 우리는 조직속에서 무책임한 톱니바퀴처럼 작동하고 있으며 도덕성이 조직에 대항하지 못한다면 모두가 아이히만이 될 수 있다. – 철학자 귄터 안데스 67
아이히만은 사실 극단적인 반유대주의자로 이것은 대량 학살의 중요한 동기였다. - 다비드 체자라니 68
2차대전 이후에 태어난 아이히만의 아들 리카르도는 부친의 행동을 비난하고 이스라엘의 처형에 대한 억울함은 없다고 말했다. 리카르도는 독일에서 고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69
원문글
http://en.wikipedia.org/wiki/Adolf_Eichmann
- 국제적십자의 인도주의를 악용한 나찌 ICRC travel document. 31-05-2007 [본문으로]
- Nazi Eichmann's passport found in Argentina ABC News. May 30, 2007 [본문으로]
- Krause, Peter (2002), Der Eichmann-Prozess in der deutschen Presse ("The Eichmann trial in the German Press"), Frankfurt, Campus, p. 20 [본문으로]
- 아이히만 조서 p. 7 [본문으로]
- 많은 사료에서 부친의 이름이 카를 아돌프임이 확인된다. 아이히만 본인의 증언("Tonbandtranscription")과 이스라엘 법정("Translation from the Hebrew in the District Court of Jerusalem" , "Transcripts/Judgement" ). [본문으로]
- 'Becoming Eichmann' p. 44 [본문으로]
- "Eichman's wife was from České Budějovice" (체코). MF Dnes. 2007-11-21. “아이히만의 아내에 관한 기사”에서 재인용 [본문으로]
- ヒトラーの共犯者 下 p. 38 [본문으로]
- 'Becoming Eichmann' p. 69 [본문으로]
- ヒトラーの共犯者 下 p. 76 [본문으로]
- Cesarani, David (2005), Eichmann: His Life and Crimes, Vintage Books, p. 28 [본문으로]
- Padfield, Peter, Himmler. Reichsführer-SS, Cassel & Co, London, (1990, 2001), p. 198 [본문으로]
- 아이히만 조서 p. 18 [본문으로]
- Porter, Anna, Kasztner's Train: The True Story of an Unknown Hero of the Holocaust (2008), p. 94 [본문으로]
- The deportation of the Hungarian Jews to Auschwitz-Birkenau in 1944". Retrieved 2009-05-13. [본문으로]
- Adolf Eichmann". Retrieved 2009-05-14. [본문으로]
- McNab, Chris (2009), The SS: 1923–1945, p. 41 [본문으로]
- Lumsden, Robin (2001), A Collector's Guide To: The Allgemeine – SS, p. 84 [본문으로]
- Browning, Christopher R. (2004), The Origins of the Final Solution, p. 81 [본문으로]
- Browning, Christopher R. (2004), The Origins of the Final Solution, p. 362 [본문으로]
- "Argentina uncovers Eichmann pass". BBC. 29 May 2007. Retrieved 2007-06-07. "A student has found the passport used by Nazi war criminal Adolf Eichmann to enter Argentina in 1950."The passport has since been handed over to the Argentina Holocaust Museum in Buenos Aires. [본문으로]
- Schachter, Jonathan, "Isser Harel Takes On Nazi-Hunter. Wiesenthal 'Had No Role' In Eichmann Kidnapping", The Jerusalem Post 7 May 1991. [본문으로]
- "Life style: Adolf Eichmann is a historical figure to me. Ricardo Eichmann speaks to Suzanne Glass about growing up the fatherless son of the Nazi war criminal hanged in Israel". The Independent (London). August 7, 1995. [본문으로]
- The Nazi criminal Adolf Eichmann is captured in a joint operation by the Mossad and the ISA May 1960 (Shin Bet Web Site) [본문으로]
- Haggai Hitron, "The monster is in handcuffs", Haaretz, January 16, 2007. [본문으로]
- Bascomb, Neil (2009). Hunting Eichmann: How a Band of Survivors and a Young Spy Agency Chased Down the World's Most Notorious Nazi. Boston/New York: Houghton Mifflin Harcourt.ISBN 0-618-85867-9. [본문으로]
- Tacuara salió a la calle, Página/12, May 15, 2005 (Spanish) [본문으로]
- Great World Trials; The Adolph Eichmann Trial, 1961. pages 332-337; 1997. [본문으로]
- M. Lippmann, The trial of Adolf Eichmann and the protection of universal human rights under international law, Housto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Autumn 1982, pp.1–34. [본문으로]
-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38, June 23, 1960 (Symbol S/4349) [본문으로]
- L. C. Green, Legal issues of the Eichmann trial, Tulane Law Review, vol 641 (1962–3) pp.643–683. [본문으로]
- Eichmann trial transcript "?".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6-11. and appeal transcript "?".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6-11. [본문으로]
- 국제법 판례 요약집’ 장신 저, 전남대학교 출판부 p. 369 [본문으로]
- 이 법은 과거 30여명에게 적용되었으나 1명을 제외한 사람은 전부 유대인 홀로코스트 생존자 중에서 ‘나찌 협력자’로 규정된 이들이다. 그에 관해서는 Orna Ben-Naftali and Yogev Tuval, Punishing International Crimes Committed by the Persecuted, Journal of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Vol. 4 (2006), 128–178. 참조. [본문으로]
- 국제형사재판소 ICC는 2002년 7월 1일 설립되었다. [본문으로]
- 국제법 판례 요약집’ 장신 저, 전남대학교 출판부 p. 368 [본문으로]
- "1969 In Review: Eichmann" [본문으로]
- Israeli letters favored sparing of Eichmann, New York Times, June 4, 1962. Article available on-line for pay only.. Retrieved 2009-07-31. [본문으로]
- New York Times, June 1, 1962. [본문으로]
- Carmel, Yoseph, Itzchak Ben Zvi from his Diary in the President's office , Mesada, Ramat Gan, 1967, page 179 [본문으로]
- Trial and History, Menahem Moutner Editor, The Zalman Shazar Center for Jewish History, 1999, pages 395-421 [본문으로]
- "Eichmann memoirs published". London: Guardian Unlimited. 1999-08-12. Retrieved 2010-12-27. [본문으로]
- David Cesarani, Eichmann: His Life and Crimes, (London: Vintage, 2005), p.321. [본문으로]
- 'We have to carry out the sentence' - Haaretz - Israel News [본문으로]
- Resignation on moral principle | Opinion | The First Post [본문으로]
- 그에 관한 내용은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로렌 슬레이터 지음, 에코의 서재 출판 2장을 참고. [본문으로]
- Milgram, Stanley. "The Perils of Obedience". Harper's Magazine (1974) [본문으로]
- Th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 Retrieved 26 November 2007. [본문으로]
- Day, Matthew (4 April 2011). "Adolf Eichmann regretted not killing all Europe's Jews". The Daily Telegraph. [본문으로]
- hane, Scott (2006-06-07). "C.I.A. Knew Where Eichmann Was Hiding, Documents Show". nytimes.com. Retrieved 2007-02-28. [본문으로]
- "Rapport: CIA beskyttede topnazist". Pol.dk. 2006-06-07. Retrieved 2006-06-07.[dead link](Danish) [본문으로]
- "Documents show post-war CIA covered up Nazi war crimes". Haaretz.com. 2006-06-07. Retrieved 2006-06-11. [본문으로]
- CIA Ties With Ex-Nazis Shown, The Washington Post, June 7, 2006 [본문으로]
- The Guardian, June 8, 2006,"Why Israel's capture of Eichmann caused panic at the CIA" [본문으로]
- "The Holocaust in the Dock: West Germany's Efforts to Influence the Eichmann Trial - SPIEGEL ONLINE - News - International". Retrieved 26 April 2011. [본문으로]
- Harel, Isser (1975). The house on Garibaldi Street: the first full account of the capture of Adolf Eichmann. New York: Viking Press. ISBN 0-670-38028-8. [본문으로]
- ヒトラーの共犯者 下 p. 69 [본문으로]
- 이 말은 스탈린의 발언으로 유명하지만 사실은 서부전선 이상없다로 유명한 소설가 레마르크의 말이다. [본문으로]
- 아이히만 조서 p. 136 [본문으로]
- 아이히만 조서 p. 137 [본문으로]
- ヒトラーの共犯者 下 p. 25 [본문으로]
- ヒトラーの共犯者 下 p. 28 [본문으로]
- 'Becoming Eichmann' p. 36 [본문으로]
- ヒトラーの共犯者 下 p. 31 [본문으로]
- ヒトラーの共犯者 下 p. 74 [본문으로]
- ヒトラーの共犯者 下 p. 28 [본문으로]
- ヒトラーの共犯者 下 p. 28 [본문으로]
- Cesarani, David, Becoming Eichmann: Rethinking the Life, Crimes and Trial of a ‘Desk Murderer’, Da Capo Press, Cambridge, MA, 2006, pages 197, 347 [본문으로]
- J. – Eichmann's son: ‘There is no way I can explain’ [본문으로]
'History > World W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시즘과 정치스펙트럼 (0) | 2009.02.04 |
---|---|
이스라엘이 바라본 중동분쟁 (1) | 2009.02.03 |
안네의 일기 ; 진위논쟁 (0) | 2009.01.31 |
2차대전갤 정리 4. 미디어 (2) | 2009.01.25 |
2차대전갤 정리 3. 인물편 (0) | 2009.01.25 |
2차대전갤 정리 2. 무기편 (0) | 2009.01.24 |
2차대전갤 정리 1. 일반 (0) | 2009.01.23 |
독일의 전후배상 (2) | 2009.01.12 |
유대인 절멸의 문서적 근거 (3) | 2009.01.10 |
홀로코스트 부인 (0) | 2009.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