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Arab Israeli conflict

나세르. 3. 대외정책

대소 관계


나세르와 흐루시초프 1994년 5월

수에즈 위기는 이집트와 소련의 관계를 급속히 전진시켰다. [각주:1] 새로운 관계의 일부로 소련은 아스완 하이 댐 건설 공사비용의 1/3을 부담하고 건설에 필요한 기술자 400여명을 제공하기로 약속한다. [각주:2] 이로써 댐의 건설은 1960년 1월 1일 개시되어 [각주:3] 10년뒤인 1970년에 완공되었다. 댐으로 만들어진 호수는 나세르를 기념하여 나세르 호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이 댐은 2.1 gW의 발전용량을 잠재하고 오늘날까지 작동되고 있다. [각주:4]

아스완 댐의 건설로 이집트-소련 관계가 급속히 발전한 것은 국내 정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나세르 치하에서 이집트의 경제는 서서히 사회주의 체제 내지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따르는 형태로 재편되어갔다. 1962년에는 이집트 사업체의 최소 51%가 국유기업이 되었고 [각주:5] 1964년 5월 9일 부터 26일까지의 이집트 공식 방문기간 중에 니키타 흐루시초프는 나세르에게 소비에트 영웅 상과 레닌 훈장을 수여했다. [각주:6]

이러한 친소성향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역사가들은 나세르 치하의 이집트가 완전히 사회주의에 편향되었다고는 보지 않으며 나세르의 후계자 안와르 사다트의 통치하에 경제는 다시 확고한 자본주의 경제로 돌아섰다. [각주:7] 나세르는 개인적으로는 공산주의를 싫어했고 대통령 재임기간 중에 수백명의 이집트 공산주의자들을 체포했다. [각주:8]



수에즈 운하

권좌에 오르자마자 나세르는 영국과 수에즈 운하 지역에서 일부의 민간 기술자를 제외한 영국군 전부대를 철수시키는 조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 조약으로 이집트는 영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고 영-이 간의 대치국면은 종결되었으며 [각주:9]. 조약 체결 직후에 나세르는 영국과 미국이 주도하는 경제 개발 기구로부터 4천만 달러의 차관을 들여왔다. [각주:10]

이듬해인 1955년, 미국은 세계은행이 제공하는 2백만 달러를 포함하여 총 5천6백만 달러의 차관으로 나세르 혁명정부가 혁명 당시부터 계획하고 있던 아스완 하이댐의 건설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각주:11] 이 댐은 당시로는 세계최대의 건조물로, 이집트 대부분의 지역에 전력을 제공하고, 관계농사를 위한 경작용수와 나일강의 범람을 통제할 수 있게하려는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각주:12]
1955년 9월 나세르는 동구권의 체코슬로바키아와 무기구입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서방진영을 충격에 빠트렸다. 이에 대하여 1956년 7월 서방 강대국들은 재정지원 약속을 철회하고 나세르는 댐 건설을 위한 재정적 대안을 찾아나섰다. [각주:13] 이에 동년 7월 26일, 이집트의 힘을 과시하고 댐 건설을 위한 재원마련을 목적으로 나세르는 수에즈 운하의 국유화를 선언한다. [각주:14]

나세르도 운하의 국유화가 서방진영에게서, 특히 운하에 다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영국과 프랑스의 강력한 반발을 받으리라 예측하고 있었지만 나세르는 국유화 발표후 영국이 군사작전을 개시하려면 적어도 2개월은 걸리리라 믿고 있었고, 이스라엘의 침공 가능성은 "불가능"하다고 일축했다. [각주:15] 10월 초에 국제연합 안전보장 이사회는 수에즈 운하 문제를 논의하고 외국 선박의 통과를 인정하는 한 이집트가 운하의 통제권을 보유할 수 있다고 승인했다. [각주:16] 이것으로 나세르는 "침공 가능성은 10% 선까지 떨어졌다"고 보고 있었다. [각주:17]

프랑스는 이스라엘과 영국에 접근하여 비밀리에 수에즈 운하의 제어권을 탈취할 계획을 세운다. 계획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이집트가 통제하는 가자 지구에서 일상적인 공격을 시작하면 즉각적으로 강력한 반격을 실시하는 것으로 시작되게 되어 있었다. 이스라엘이 시나이 반도를 점령하고 수에즈 운하에 도달하면 영국과 프랑스 군이 양국간의 경계지대를 점령하여 중립지역을 형성하고 수에즈 운하의 통제권을 회복하는 것이 작전의 2단계였다. 10월 29일, 이스라엘 군은 사나이 반도로 전진했고 10월 31일 영국과 프랑스의 연합군이 운하 지역을 점령했다. 그러나 영국 대통령 드와이트 아이제나워는 미국의 협조없이 이루어진 이 계획에 강력한 불만을 표시하고 3국에게 군대의 철수를 요청했다.

게다가 1956년 11월 5일, 소련은 이집트 영토에서 모든 외국 군대가 철수할 것을 요청하는 최후통첩을 제시하기에 이르자 미국의 재정압박으로 코너에 몰린 영국의 경제가 흔들림에 따라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은 철군을 결정, 이로써 수에즈 운하는 끝나게 된다. [각주:18] 이로써 나세르는 승자로서 위상을 굳히고 아랍 국가의 지도자로서 위상을 드높였다.




아랍 지도자


나세르가 주최한 첫 비상 아랍정상회담에서 나세르와 아라파트

수에즈 위기에서의 성공과 수사적인 능력 덕분에 나세르는 아랍 세계의 지도자로서 입지를 굳히고 아랍 단결에 영향을 주게 된 "나세르 주의"를 제창하게 되었다. 나세르는 아랍 정계의 새로운 시대를 대표하는 지도자로서 수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게 되었고, 그가 제창한 범 아랍주의는 서방 진영의 제국주의에 맞서 아랍권이 단결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1967년의 연설에서 나세르는 "우리 아랍은 행동에 의해서, 특히 전쟁을 통해서 많은 것을 얻을 것이다. 적을 직면하고 정면으로 맞서 싸움으로써 조국을 개발하고 건설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961년 시리아의 홈(Homs)에서 대중에게 연설하는 나세르

1958년 시리아 군과 국민들은 시리아와 이집트의 통합을 요청해 왔다. 이 제안은 매우 급작스럽고 앞을 예측하기 어려웠지만 나세르는 즉각 통합 아랍 공화국(United Arab Republic)의 건서에 동의했고, 이것은 범 아랍국가의 건설에 제1보로 받아들여졌다. 여기에 예맨을 통합하려는 시도까지 이어졌지만 결과적으로 UAR은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시리아에서 이집트의 관료계층과 장교들은 강압적인 통치를 펼쳤고, 무슬림 형제단과 시리아 공산당에는 급속도로 비밀경찰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게다가 예상과는 달리 시리아 유산계층들은 이집트 시장에 접근할 수 없었고 시리아 유산계층과 장교단은 다마스커스에서 이집트의 통치에 반대하는 활동을 벌이게 되었고 1961년 UAR은 해체되었다. 비록 1971년까지 이집트는 그 명칭을 계속 사용해왔지만 그 때문에 예맨 내전에 간섭하게 된다.




예맨 내전과 6일전쟁

나세르는 1957년 부터 예맨의 정권이 변화되기를 원했다. 간섭의 기회를 엿보던 중 1962년 1월, 나세르는 자유 예맨 장교단에게 재정 지원과 방송국, 활동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나세르는 자신의 욕망을 행동에 옮기게 되었다. 나세르는 예맨의 친 사우디 왕가를 전복시키고 시리아와 이집트의 통합에 예맨을 추가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1957년부터 1961년까지 예맨 왕국의 대사였던 아흐므드 아부 자이드는 카이로의 이집트 장교단에게 예맨 부족들이 다루기 까다롭고 충성심이나 민족주의에 무관심하다고 보고했다. 대사는 이집트에 전투부대를 파견하는 것에 반대하고 자금과 장비를 예맨 자유 장교단에 지원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의견이었다. 또, 아부 자이드는 사우디가 예맨에 대량의 자금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이집트가 이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해나갈 경우 사우디와의 마찰을 빚게 되리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나세르는 아부 자이드의 제안을 거부하고, 예맨의 범 아랍 민족주의 운동을 보호하기 위해 이집트 전투부대를 파견해야 한다는 확고한 의지를 표명한다.

나세르는 이집트 특수부대와 1개 전투비행단의 파견만으로 예맨 쿠데타를 성공시킬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대를 파견한지 3개월 만에 나세르는 예상보다 훨씬 대규모의 병력을 파견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하게 된다. 1963년 초, 나세르는 예맨에 이집트 군을 파견하는 모험을 시작한 이래 밑빠진 독에 물을 붓듯이 끝없닌 소모전에 빨려들어가고 있었다. 1962년 10월 파견 병력은 5,000명 규모였지만 2개월 뒤에는 15,000명의 정규군이 증파되었다. 1963년 말에는 파견병력의 수는 36,000으로 증가했으며 1964년 말이 되자 예맨 주둔 이집트 군의 규모는 5만명 까지 증가했다. 그리고 1965년 말, 이집트의 예맨 파견군은 55,000명 규모에 13개 보병 여단, 1개 포병사단, 공수 여단을 비롯한 수개의 특수부대를 포함한 대규모로 증가되었다. 이집트의 예맨 내전 참전 비용은 점점 더 증가했고 전쟁으로 인한 인명피해도 급증했다.


나세르와 요르단 국와 후세인이 방어 조약에 조인하고 있다.

소련에게 이스라엘이 시리아를 공격할 계획이 있다는 정보를 받자, 나세르는 시나이 반도의 재무장을 시작하고 국제연합평화유지군(UNEF, United NAtions Emergency Force)에게 시나이 반도를 떠나도록 요구했고, 제3대 국제연합 사무총장 우 턴트는 이를 승인했다. 나세르는 시나이 반도의 재무장을 개시했고 5월 23일에는 1956년 전쟁 이후 이스라엘의 접근이 보장되어 있던 티란 해협을 봉쇄하고 아카바 만의 북단을 차단하여 인도양으로 부터의 접근경로를 차단했다. 이것은 이스라엘에게는 전쟁선언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동안 나세르는 계속해서 이스라엘을 공격하겠다고 위협하고, 다른 아랍 국가들에게 지지를 요구했다. 이스라엘은 이에 대응하여 선제공격에 나서야 한다고 결정하게 된다. 6일 전쟁으로 알려질 이 작전에서 이스라엘 공군의 제1파는 이집트 공군기 거의 전부를 비롯한 아랍 연합군 공군을 지상에서 완파했다. 압델 하킴 아메르 원수는 큰 피해를 입은 이집트 전군에 후퇴명령을 내렸고, 이것은 더더욱 이집트 군의 피해를 확대하여 결과적으로 이집트 군의 희생자 대부분은 철수작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6일 전쟁의 패배는 이집트 역사상 가장 큰 치욕중 하나로 기록되게 된다.

  1. (Copeland 214) [본문으로]
  2. (“Aswan High Dam”) [본문으로]
  3. (Stephens 299) [본문으로]
  4. (“Aswan High Dam”) [본문으로]
  5. (Malek 363-5) [본문으로]
  6. (Russian) Heroes of the Soviet Union [본문으로]
  7. 전게서 (367-71) [본문으로]
  8. Aburish, Nasser the Last Arab 2004 pp. 78-120 [본문으로]
  9. (Nutting 69-71) [본문으로]
  10. (Stephens 143) [본문으로]
  11. (Nutting 118) [본문으로]
  12. (Stephens 170) [본문으로]
  13. (Nutting 140-1) [본문으로]
  14. (Malek 107) [본문으로]
  15. (Heikal 91) [본문으로]
  16. (Heikal 103-4) [본문으로]
  17. 전게서 (105) [본문으로]
  18. (Malek 107) [본문으로]

'History > Arab Israeli confli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 중동전쟁, 1. 만월의 밤  (0) 2008.06.09
욤키프르 전쟁  (0) 2008.05.26
6일전쟁  (1) 2008.05.25
나세르. 4. 사망과 평가  (0) 2008.05.24
1차 중동전쟁  (0) 2008.05.22
나세르. 2. 국내정치와 이집트 경제  (0) 2008.05.22
나세르. 1. 이집트 혁명의 지도자  (0) 2008.05.19
나세르  (0) 2008.05.18
츠비카 그린골드  (1) 2008.05.09
2차 중동전쟁, 2. 전쟁과 외교  (0) 2008.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