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view/Game

HOI3SF 육군 : 보급

보급은 기갑군의 족쇄다. - 하인츠 구데리안

HOI3는 발매 초기부터 속도 문제로 원성이 높았고 보급문제는 고사양 요구의 원인이 되는 과도한 연산을 야기하는 주범 중 하나로 손꼽혔습니다.(1순위가 기후계산, 2순위는 개별 국가들 외교문제) 아무리 역설충만한 패러독스사라 해도 멀티코어 연산을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래밍으로 무지막지한 연산을 요구하는 문제로 유저들 포럼에서 불신자들이 소동을 일으키자 원성이 자자하자 HOI3SF에서는 보급 기능을 사실상 삭제한 역설교의 개혁주의적 이단을 색출해서 화형 아케이드 모드를 추가했습니다. 보급를 신경쓰고 싶지 않은 분은 아케이드 모드를 적용해서 게임을 할 수도 있고 에디트를 할 수도 있습니다.

에디트 방법

Paradox Interactive\Hearts of Iron III\common\폴더에서 defines.lua 파일을 찾는다.

SUPPLY_TAX=0.1 (1 노드당 보급비용)
MUDDYNESSSUPPLYTAXMODIFIER=0.25(지역의 기후 상태가 진흙탕-mud- 상태인 경우에 발생하는 추가보급비용 0.25)
OWNED_AND_CONTROLLED_THROUGHPUT_CAP_BONUS=2(점령중인 지역에서의 보급보너스 한계)
INFRA_THROUGHPUT_IMPACT=4(인프라 레벨당 이동가능한 보급품 량)
SUPPLYPOOL_DAYS=30(보급받지 않고 부대 하나가 버틸 수 있는 기간)

여기서 위의 두개(supply tax, muddyness supply tax modifier는 0으로 맞추고 나머지는 적절히 늘려주면 대부분의 보급문제는 해결된다.)

이러한 역설신의 은총을 거부하는 대죄 편리성보다 사실성을 추구하는 유저들도 몇가지만 사항만 이해하면 보급기능을 적용하더라도 재미있게 게임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기본개념

전쟁의 쓰라린 경험은 우리에게  전쟁의 기술이란 곧 병참의 기술이라는 교훈을 가르쳐준다. - 하이만 리코버

보급창(Supply Depots)

보급에 필요한 물자가 자동적으로 축적되는 물리적인 장소.

- 보급품(supply)은 보급망(supply network)을 통해서 축적되거나 군부대에 할당된다.
- 모든 국가의 주요 보급창(primary supply depot)은 수도에 위치한다.
- 수도에서 육상으로 이동할 수 없는 영토에 항구가 있으면 보급창이 설정된다.

보급망(Supply Network)

HOI3SF에서 보급망은 1국당 1개씩만 존재한다. 모든 유닛은 우선적으로 주둔지에서 보급품을 제공받고, 부족하면 다음의 원칙에 따라서 보급품을 확보한다.

- 보급품 생산시설 중 보급창에서 가장 가까운 순서대로 보급요청을 받는다.
- 보급요청을 받은 곳이 추가로 필요한 보급품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인접한 다음 지역에 보급을 요청한다.
- 한곳에서 보급요청을 전부 만족시킬 수 없다면 여러 지역에서 보급품을 제공한다.
- 보급창에서 주둔지까지의 모든 중간지점에서는 개략적인 양을 산정해서 보급품을 전방으로 추진한다.
- 보급품은 1일당 1프로빈스씩 이동한다.

보급품 처리량(Supply Throughput)

보급망을 구성하는 한 프로빈스를 통과하는 보급품의 양. 다음의 요소들이 보급품의 분배량을 결정한다.

- 인프라(Infrastructure) : 한 지역의 보급품 처리량은 해당 지역의 인프라 수준에 기초해서 결정된다.(추후에 설명함)
- 보급비용(Supply Tax) : 보급품을 한칸 이동시킬 때마다 0.1씩 추가된다. 보급품 수송기술(Supply Transportation)로 감소시킬 수 있다.
- 항구 규모(Port Size) : 해외에 보급품을 수송할 때에는 항구의 규모가 보급품의 소모양을 결정한다. 항구 1레벨당 보급품을 4씩 수송할 수 있다.
- 공항 규모(Airport Size) : 레벨 당 공군 4개 부대를 유지할 수 있다.
- 반군 활동(Partisan Activity) : 반군이 발생하면 보급선이 차단됨으로써 전체 처리량이 극단적으로 소모될 수 있다.

보급지도(Supply Map)

매일마다 유닛의 이동과 보급품의 이동에 따르는 보급망의 변화를 보여준다.

- 녹색은 필요한 보급품이 충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보급망이 아직 연결되지 않았거나 제한적인 지역이더라도 모든 유닛은 30일간 필요한 보급품을 기본적으로 확보해두고 있기 때문에 녹색으로 표시되어 있다고 해서 안심할 수는 없다. 이 지역에 위치한 유닛들의 보급품이 남아있는 것은 Dagu의 항구를 점령하면서 새로운 보급망이 구축되기 전에 만주국 국경 내에서 보급받던 것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 푸른색은 보급품 잉여분이 남아있음을 의미한다. (추후에 설명한)
- 검은색은 보급품 요청도, 제공도 없음을 의미한다.(즉, 보급망을 구성하지 않는 지역이다.)
- 갈색(카키색, 회갈색 비슷하게 느껴지는 색)은 보급품 제공량이 요구량보다 적은 지역이다.(요구치가 처리량을 초과한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인프라수준(infrastructure level), 지형, 기술 수준등이 관련되어 있다.
- 붉은색 빗금은 인프라 수준 때문에 보급량이 제한되는 지역을 의미한다. 갈색으로 표시된 지역과 다른 것은 이 부분이 병목(bottle neck)현상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이다.(보급품 처리량은 가장 인프라가 열악한 병목에서 결정된다. 예컨데 보급망 내에서 nod 51, 52, 53지역의 인프라가 각기 10, 6, 10인 경우 nod 51이 녹색이었다면, 52는 녹색바탕에 붉은 빗금으로 표시되는 병목이 되고 53은 갈색으로 표시된다. 실질적으로 보급품이 손실되고 있는 지역이므로 원인을 확인해야 한다.)
- 붉은색은 요구량이 필요량을 초과하는 지역으로 보급을 받고있는가에 상관없이 처리량이 0인 지역이다. 병목현상으로 보급량이 부족한 상태가 지속되게 되면 유닛은 보급품 여유분을 전부 소진하고 보급 결핍상태에 빠지게 된다.
- 커서가 북평(Beiping)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해당 지역의 보급품 관련 상세정보가 표시되었다. 이 지역의 유닛들이 요구하는 보급품의 총량은 1일당 114 단위지만, 실제로 보급되고 있는 분량은 약 18 정도에 불과하다.
- 다구의 항구는 Lv. 7이므로 이곳에서 처리되는 보급품의 기준량은 1일당 28인데 현 시점에서 보급망은 북평으로 집중되고 있지만 이곳의 처리량이 28이 아니라 18인 것은 아래쪽으로 보급되던 분량이 차단되면서 일시적으로 항구지역에 잉여분이 생성되고 보급망에 현상황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항구와 보급선(Ports and Supply Convoys)

HOI3SF에서는 보급선으로 육상보급을 보완하는 기능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해상보급의 기능이 더 중요해졌다.

항구 : 해외 보급은 공급항(Origin Port)과 수급항(Receiving Ports)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IC가 있는 국민지역(National Core)으로, 높은 인프라과 항구시설을 갖추고 있는 지역일 수록 공급항으로서의 효율이 높다. 이론적으로 공급항은 무한대의 보급선을 운용할 수 있지만 실제로 보급량을 결정하는 것은 수급항의 규모이다. 항구는 레벨 1당 4의 보급품을 처리할 수 있으며 10레벨의 항구는 40단위의 보급품을 처리해서 보병x3 + 포병x1로 구성된 사단을 15개 보급해줄 수 있다.

보급선 : 보급로에 필요한 보급선의 수는 해상지역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보급량이 아니고) 보급량은 수급항의 규모에 의해(위에서 설명한대로) 결정되며 HOI3SF에서는 추가적인 해상보급로를 연결함으로써 보급창이 제공할 수 있는 물자의 총량을 더 늘릴 수 있다.(그러나 보급창의 수 자체를 늘릴 수는 없다.) 이를 통해서 보급창이 위치한 항구의 규모 제한으로 발생하는 병목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보급품 부족(Lack of Supplies)

모든 부대는 30일간 사용할 분량의 보급품과 연료를 확보하고 있다. 보급물자 제한이 계속되면 각 부대는 이미 확보한 예비 물자를 소모하게 되고, 그와 함께 보급품 부족 경고를 띄워서 어느 위치에 있는 유닛이 보급품을 잃고 있는지를 알려준다. 그와 함께 부대는 전투효율에 패널티를 받게 되며 이 패널티는 남아있는 보급품 여유분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데 20일분(66%)의 보급품이 남은 경우라면 해당 부대의 전투효율은 50% x ( 1 - 0.66 ) = 16.7% 감소한다.

30일치의 여유분을 전부 소모하게 되면 해당 부대는 이동이 불가능해지는데 이때의 패널티는 다음과 같다.

- 전투효율 -50%
- 이동 불가
- 보급품이 있어도 연료가 고갈된 상태라면 아주 느리게 이동한다.
- 증원이나 업그레이드 불가.

보급을 받지 못하는 부대는 증원을 받지 못하며 업그레이드도 이루어지지 않고 조직력(Organization)이 회복되지도 않는다. 또, 현 위치의 소모율(Attrition)에 의거해서 서서히 병력(Strength) 손실을 받게 된다.

보급문제를 개선하는 방법

처리량 개선

보급과 통신에 대해서 무지한 장교는 전술에 무지한 장교만큼이나 쓸모없다. - 조지 S. 패튼.

인프라(Infrastructure)의 효과

지역의 인프라 수준은 보급품 처리량을 결정하는 가장 주요한 요인이다. 인프라 수준과 처리량의 공식은 초기에는 2차 함수를 따르다 나중에 변화한다. 기술에 의한 변화 요인이 없다고 가정할 때 Infra Lv. 1에서 처리량은 8.4, Lv. 2에서는 34, Lv. 3에서는 72로 레벨의 제곱에 8을 곱한 값처럼 보이지만  Lv. 8에서는 243이다.(반올림 값)

일반적으로는 보급 처리량 측면에서 Infra Lv.10의 보급로 1개가 낮은 레벨의 보급로 여러개보다 효율성 측면에서 유용하지만 이 경우 보급폭격에 취약하고 다양한 배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기술 개발의 효과

- 보급품 수송(Supply Transportation) : 레벨 당 보급비용(Supply Tax)을 0.01 감소시킨다.
- 보급 조직(Supply Organization) : 레벨당 보급품 처리량(Supply Throughput)을 0.05 증가시킨다.
- 기지 관련 : 해군기지(Basing) 기술은 1레벨당 항구의 보급품 처리량(Port Efficiency)을 5%씩 향상시킨다. 해군 장관 중 공해통제교리(Open Seas Doctrine) 장관에게도 20% 보너스가 있다.

기타

- 장기간 포위가 진행될 때에는 전투의 영향으로 인프라가 파괴되기 때문에 보급문제로 점점 더 공세를 진행하기가 어려워진다.
- 열대 지역(특히 인프라가 열악한 아시아나 아프리카에서) 이나 라스푸티차(해빙기의 러시아) 시기에는 보급 문제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산업관련 법령은 보급품 처리량에 영향을 준다. 혼합경제(Mixed Industry)는 5%의 보너스를 제공하고 중공업경제(Heavy Industry)는 10%의 보너스를 제공한다.

소모량 감소

작전은 건전한 보급계획에 기초해야 한다. 실전부대가 보급을 받지 못하면 작전은 실패하거나, 잘해야 제한적인 승리를 거둘 뿐이다. - 레이몬드 A. 스푸루언스

장교 개인능력

- 집단군(Army Group HQ)의 지휘관은 스킬 레벨당 5%씩 범위 내에 있는 부대의 보급품 소모량을 줄여준다.
- Logistic Wizard 속성이 있는 지휘관은 부대의 보급품 소모량을 사단장 기준으로 25% 줄여준다.(이 특성은 이동중이나 공격중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보급품 잉여분(Stockpiles)

보급창에서 떨어진 장소에는 유닛의 필요량을 초과하는 잉여 보급품이 일시적으로 축적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적국의 영토 일부를 점령하면 간혹 보급품을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난다. 조금만 지나면 잉여 보급품들은 보급망을 통해서 보급창으로 되돌아가게 되며, 이때는 보급품 처리량의 제한이나 통과세가 적용되지 않는다.

보급에 영향을 주는 기술

- 광정면(Large Front) : HQ 영향범위내에 있는 부대의 보급품 소모량이 0.1 감소한다.
- 게릴라전(Guerrilla Warfare) : HQ 영향범위내에 있는 부대의 보급품 소모량이 0.1 감소한다.
- 공수장비(Airborne Warfare Equipment) : 공수부대(Paratroopers)의 보급품 소모량을 0.1 줄인다.

기타

- 부대를 한 곳에 과도하게 집중시키게 되면 필연적으로 보급문제가 발생한다.(분군행군 총군전투)
- 공세가 중단되었다면 보급이 문제인지를 살펴봐야 한다. 보급부족 상태에서 부대를 더 추가하면 점점 소모량이 늘기 때문에 문제만 커진다.

보급망 개선

일반적으로 전쟁과 작전에서 보급만큼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없다. - 칼 폰 클라우제비츠

수동 보급(Manual Control)

보급망은 자동적으로 형성, 작동되지만, 유저가 수동으로 보급망을 조절할 수도 있다.

- 수송기(Transport planes) : 비싸고 수송량에 제한이 있으며 제공권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하기에는 위험하지만 보급문제의 가장 직접적인 해결책이다.
- 운반선(convoy) : 통상적으로는 AI가 해상운송 시스템을 통제하지만, 유저가 수동적으로 연결해서 추가적인 보급을 제공해 주는 것도 가능하다.
- 보급로 재설정(Supply re-route) : HOI3SF에서 새로 추가된 기능으로, 육로로 보급선이 연결된 지역에 추가적인 해상보급을 연결해서 보급상태를 개선하는 기능이다. 예컨데, 블라디보스토크의 유닛들은 기본적으로 모스크바에서 보급을 받지만 레닌그라드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해상 보급로를 추가로 연결해 줄 수 있다. 지중해나 발트해처럼 육지로 둘러쌓여있는 지역들의 보급상황을 개선할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연결을 하려면 각 지역이 10프로빈스 이상 떨어졍있어야 한다.

동맹국과 괴뢰국(Allies & Puppets)

부대가 동맹국가 내부에 주둔하고 있을 때 보급품은 동맹국가의 보급망에서 소모된다. 그와 함께 자동적으로 양국 사이에 보급로가 형성되며 부대가 소모한 만큼과 정확히 같은 분량의 물자가 해당국가에 이전된다. 즉, 동맹국 영토를 별도의 보급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과도하게 병력을 이동시켜놓으면 동맹국도 우리쪽 보급망으로 자국의 병력을 옮겨놓는다.

http://www.paradoxian.org/hoi3wiki/Logistics_strategy

http://www.paradoxian.org/hoi3wiki/Logistics_reference

http://forum.paradoxplaza.com/forum/showthread.php?p=10011660#post10011660